레고 블록으로 집을 짓는다고 상상해 보자.
레고 블록을 연결해서 벽을 만들고, 지붕을 올리고, 문과 창문을 달아 집을 완성하지? 스프링부트에서 어노테이션은 이 레고 블록에 특별한 기능을 부여하는 스티커 같은 거라고 생각하면 돼.
어떤 스티커가 있을까?
왜 스티커를 붙일까?
스프링부트는 이 스티커를 보고 어떤 일을 해야 할지 알아. 마치 레고 블록에 적힌 설명서를 보고 조립하는 것처럼 말이야. 스티커를 통해 스프링부트는 어떤 클래스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줘.
예를 들어볼까?
우리가 간단한 웹 사이트를 만들고 싶다고 해보자. 이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기능이 필요해.
스프링부트는 이 스티커들을 보고 각 클래스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고,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 접속하면 UserController를 실행시켜 사용자 정보를 보여주는 거야.
정리하면,
스프링부트에서 어노테이션은 레고 블록에 붙이는 스티커와 같아. 이 스티커를 통해 스프링부트는 각 클래스의 역할을 파악하고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줘.
다른 예시를 들어줄까?
핵심: 스프링부트에서 어노테이션은 클래스의 역할을 정의하고, 스프링부트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스프링과 MyBatis (0) | 2025.01.16 |
---|---|
DTO와 VO (0) | 2025.01.16 |
커넥션 풀이 뭐야? 레고 블록으로 알아보자 (0) | 2025.01.16 |
API 서비스 운영 (0) | 2025.01.16 |
스프링부트에서 List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