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_language

자바 연산자

by 헬로제이콥 2025. 11. 17.

 

👨‍🏫 자바 연산자: 계산하고 비교하고 결정하는 방법

안녕! 컴퓨터가 덧셈, 뺄셈 같은 계산을 하고, 어떤 숫자가 더 큰지 비교하고, "맞다" "아니다"를 결정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에 대해 배워볼 거예요. 연산자는 마치 수학 기호처럼 쓰여서 컴퓨터에게 무엇을 할지 명령하는 기호들이랍니다.

컴퓨터가 가장 많이 쓰는 네 가지 연산자를 아주 쉽게 설명해 줄게요!


1. ➕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s)

산술 연산자는 우리가 학교에서 배우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같은 계산을 할 때 써요.

연산자 하는 일 예시 설명
+ 더하기 3 + 2 결과는 5
- 빼기 5 - 1 결과는 4
* 곱하기 4 * 3 결과는 12
/ 나누기 10 / 2 결과는 5
% 나머지 10 % 3 $10 \div 3$나머지 1

📝 언제 쓰나요? (예제)

  • 용돈 계산: "내가 가진 돈 5000원에 할머니가 주신 돈 3000원을 더해라."
  • Java
     
    int myMoney = 5000 + 3000; 
    // myMoney는 8000
    
  • 물건 나누기: "사탕 15개를 친구 4명에게 똑같이 나누어 주고, 몇 개가 남는지 알고 싶다."
  • Java
     
    int remainder = 15 % 4; 
    // remainder는 3 (4명에게 3개씩 주고 3개 남음)
    

2. ❓ 비교 연산자 (Comparison Operators)

비교 연산자는 두 개의 값이 같은지, 큰지, 작은지를 비교할 때 써요. 비교한 결과는 무조건 true (맞다) 또는 false (아니다) 둘 중 하나로 나옵니다.

연산자 하는 일 예시 결과 설명
> 크다 5 > 3 true 5는 3보다 크다 (맞다)
< 작다 5 < 3 false 5는 3보다 작다 (아니다)
== 같다 7 == 7 true 7은 7과 같다 (맞다)
!= 같지 않다 7 != 5 true 7은 5와 같지 않다 (맞다)
>= 크거나 같다 6 >= 6 true 6은 6과 크거나 같다 (맞다)

📝 언제 쓰나요? (예제)

  • 게임 통과 조건: "내 점수가 100점 이상이어야 다음 레벨로 넘어갈 수 있다."
  • Java
     
    int myScore = 120;
    boolean isPass = myScore >= 100;
    // isPass는 true
    
  • 나이 확인: "놀이기구를 타려면 키가 120cm와 같거나 커야 한다."
  • Java
     
    int myHeight = 115;
    boolean canRide = myHeight >= 120;
    // canRide는 false
    

3. 💡 논리 연산자 (Logical Operators)

논리 연산자는 **true 또는 false**인 결과를 여러 개 합쳐서 최종적으로 "맞다" "아니다"를 결정할 때 써요. 주로 조건을 여러 개 검사할 때 사용해요.

연산자 이름 하는 일 예시
&& AND (그리고) 두 조건이 모두 true일 때만 true "키가 120cm 그리고 나이가 8살 이상이어야 탄다."
**`   `** OR (또는)
! NOT (아니다) 결과를 반대로 바꾼다. true를 false로, false를 true로 바꾼다.

📝 언제 쓰나요? (예제)

  • 두 가지 조건 확인 (AND): "용돈을 받으려면 방 청소도 했고 숙제도 끝냈어야 한다."
  • Java
     
    boolean cleanRoom = true; // 방 청소 완료
    boolean finishHomework = false; // 숙제 미완료
    
    boolean getAllowance = cleanRoom && finishHomework;
    // getAllowance는 false (둘 중 하나가 false이기 때문)
    
  • 하나만 맞아도 OK (OR): "오늘의 간식은 과자이거나 아이스크림이면 된다."
  • Java
     
    boolean hasSnack = false; // 과자 없음
    boolean hasIcecream = true; // 아이스크림 있음
    
    boolean goodDay = hasSnack || hasIcecream;
    // goodDay는 true (하나라도 true이기 때문)
    

4. ➡️ 대입 연산자 (Assignment Operator)

대입 연산자는 오른쪽의 값을 계산해서 왼쪽의 변수넣어라 (저장해라) 라고 명령할 때 써요. 가장 많이 쓰는 연산자입니다.

연산자 하는 일 예시 설명
= 값을 저장 score = 100 변수 score에 100을 넣어라
+= 더해서 저장 a += 5 a = a + 5와 같다
-= 빼서 저장 a -= 2 a = a - 2와 같다

📝 언제 쓰나요? (예제)

  • 점수 저장: "내 시험 점수 90점을 myScore라는 방에 넣어라."
  • Java
     
    int myScore = 90; // myScore에 90 저장
    
  • 점수 추가: "현재 점수 10점에 보너스 5점을 더해서 다시 점수에 저장해라."
  • Java
     
    int currentScore = 10; 
    currentScore += 5; // 10 + 5를 해서 다시 currentScore에 저장
    // currentScore는 15
    

이 네 가지 연산자만 잘 알아도 컴퓨터에게 아주 많은 명령을 내릴 수 있어요.